사단법인 한국 시인협회는 1975년 창립하였습니다.
한국시단의 정통성과 역사가 살아 숨쉬는 대표적 문인단체입니다.

협회소개 > 역사

한국시인협회의 역사

1957 ~ 1980
1957년 한국시인협회 창립(초대 대표간사 : 유치환/사무간사: 조지훈) 기관지 <현대시> 발간. 세계시인회 가입. 시협상 제정 제1회 수상자 김수영
1958년 제2대 대표간사 : 유치환. <현대시> 2집 발간. 연간 시집 <시와시론> 발간. 제2회 시협상 수상자 : 김춘수. 제3차 정기총회(회장제 개정 : 유치환 회장, 장만영 부회장 선출)
1959년 연간 시집 <시와시론> 발간. 제3회 시협상 수상자: 전봉건. 시낭독회 개최(원각사, 12. 7.)
1960년 4월 혁명 희생 학도 추도시집 [뿌린 피는 영원히] 발간 및 추도시 낭독회. 임시총회(간사제 전환, 제4회 시협 대표간사 : 조지훈). <나의 시 나의 시론> 발간(신흥출판사).
1961년 5대 대표간사 서정주에서 조지훈으로 승계. 영역한국시집 󰡔Korean Verse󰡕 출간 (대한공론사). 시협 마크 제작(김영태)
1965년 군사정권에 의한 강제해산(61~62년) 이후 재창립. 4월의 창립총회에서 회장제로 전환. 제6대 회장 신석초 선출. 한일 굴욕 회담 반대성명 서 발표.
1966년 제7대 회장 장만영 선출. (8대 연임)
1968년 제9대 회장 신석초 선출. 신시 60주년 기념 [한국 시선] 발간(삼화인쇄소,68.10.). 제1회 정기세미나 개최(서울 아카데미하우스)
1969년 제10대 회장 박목월 선출. [오늘의 한국시인집] 24권 발간(삼애사)
1970년 12월 정기총회에서 11대 회장 박목월 유임. [현대시인선집] 29권 간행(삼애사)
1971년 2월 정기총회(12대 회장 박목월 유임). 신춘시화전(프레스센터 갤러리). 시협세미나 부활(제2회 세미나:계룡산 동학사, 주제 : 현대시의 과제)
1972년 3월 정기총회(13대 회장 박목월 연임, 시협상 부활 - 제4회 시협상 수상자 정한모, 허영자). 제3회 정기 세미나(광주 피정센터, 주제:현대시와 독자), 사화집 ['72연간시집] 발간.
1973년 3월 정기총회(14대 회장 박목월 연임. 제5회 시협상 수상자 김광림). 사화집 [연간시집] 발간.
1974년 3월 정기총회(15대 회장 박목월 연임, 제6회 시협상 수상자 조병화). 4회 시협세미나(경주 다보호텔)
1975년 3월 정기총회(16대 회장 박목월 연임, 제7회 시협상 수상자 김남조, 홍윤숙). 11월 제5회 정기세미나(전주 가톨릭회관, 주제:현대시의 효용성)
1976년 3월 정기총회(17대 회장 박목월 연임, 제8회 시협상 수상자 박재삼. 9월 제1회 시인과 독자와의 대화. 10월 제6회 정기세미나(강릉문화원, 주제: 현대시와 전통의 문제)
1977년 3월 정기총회(18대 회장 박목월 연임, 제9회 시협상 수상자 이형기, 이유경). 11월 제7회 정기세미나(온양 충무수련원, 주제: 한국시는 어디에 와 있는가). 연간 시선집 [한국시인선집] 속간(근역서재)
1978년 신시 70주년 기념 [한국시선집] 발간(근역서재). 3월 정기총회(제 19대 회장 정한모 선출, 제 10회 시협 상 수상자 김종삼) 가을 제8회 정기세미나(춘천 강원도 교육위원회 회의실, 주제:한국현대시의 전망)
1979년 봄 정기총회(20대회장 정한모 재선출, 제11회 시협상 수상자 성찬경). 가을 제9회 세미나(공주 박물관, 주제:한국현대시의 현황)
1980년 봄 정기총회(21대 회장 정한모 유임, 제12회 시협상 수상자 정진규). 가을 제10회 정기세미나 개최(속리산, 주제:현대시와 자연). [한국시협상 수상작품집] 발간(문학세계사 간)


(사)한국시인협회는 1957년 창립하여 한국의 대표 문인단체로 정통성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1981 ~ 1999
1981년 봄 정기총회(22대 회장 정한모 유임, 제13회 시협상 수상자 김요섭, 이경희). 가을 제11회 정기세미나 개최(수덕사, 주제:현대시와 한국어)
1982년 봄 정기총회(회장 임기2년 개정, 평의원제 도입-회장선출은 평의원회에서 인준. 23대 회장 조병화 선출, 제14회 시협상 수상자 김영태, 박제천). 5월 문학기행(안성 편운재: 김광균, 모윤숙, 서정주, 박두진에게 명예로운 시인패 증정). <한국시인의 밤 및 회원 시집 전시회> 개 최(프랑스문화원). 10월 제 12회 정기세미나(부산 유스텔, 주제: 시와 시평의 상관성)
1983년 3월 연간 사화집 [시인들의 자화상] 발간. 정기총회(제 15회 시협상 수상자 오세영, 강우식). 10월 제13회 정기 세미나 개최(전주 전북예술회관, 주제:현대시와 리듬의 문제)
1984년 3월 정기총회(제24대 회장 김남조 선출. 제 16회 시협상 수상자 김여정). 제14회 정기세미나 개최(대구 매일신문사, 주제: 시적 현실의 문제). 연간사화집 [어둠의 숲에서 등불을 들고] 발간(영학출판사)
1985년 3월 정기총회 (제17회 시협상 수상자 조창환, 박의상). 연간 사화집 [늘 푸른 마음으로] 간행(예전사). 제15회 시협 정기세미나 개최(마산 크리스탈호텔, 주제:해방40년 한국시-그 회고와 전망)
1986년 3월 정기총회(제25대 회장 김춘수 선출, 제 18회 시협상 수상자 감태준, 성춘복, 김초혜). 10월 제16회 시협 정기세미나 개최(유성 신원장호텔, 주제:시문학 교육의 제문제). 서울 지하철 역 벽면 액자 부착. 연간 사화집 [시간은 언제나] 발간. 정관 개정.
1987년 3월 정기총회(제19회 시협상 수상자 이승훈). 연간 사화집 [멀리 있는 별빛처럼] 발간(한국문연). 10월 제17회 시협 정기세미나 개최(서울 아카데미하우스, 주제:신시80년의 회고와 전망). 11월 1일 문예진흥원 강당에서 <제1회 시의 날> 선포, 기념식.
1988년 3월 정기총회(제26대 회장 김종길 선출. 제 20회 시협상 수상자 조정권. 명예회원추대:김성우, 김수남, 김양동). 11월 제18회 시협 정기세미나 개최(안동문화회관, 주제:우리시의 사상과 그 지향점). 연간 사화집 [마음의 집 한 채] 발간(한국문연)
1989년 3월 정기총회(제21회 시협상 수상자 장 호). 11월 제3회 <시의 날> 기념식 주관. 11월 19회 정기세미나(전주 시립도서관, 주제:어떤 시가 좋은 시인가), 연간사화집 [89년 시인협회 대표 시선] 간행(둥지)
1990년 3월 정기총회(제27대 회장 홍윤숙 선출. 제22회 시협상 수상자 이성선). 10월 제20회 시협 정기세미나(수안보 파크호텔, 주제: 다원화시대에 있어서 시의 역할). 연간 사화집 [한국시인협회 대표시선](한국문연)
1991년 3월 정기총회(제23회 시협상 수상자 : 박희진) 10월 정기세미나. 연간사화집 [한국시인협회 대표시선](둥지). 제5회 <시의 날> 기념식 주관.
1992년 3월 정기총회(제28대 회장 김광림 선출, 제24회 시협상 : 박성룡), 연간사화집 [한국시인협회대표시선, 1992년 올해의 시](한국문연), 11월 제22회 정기세미나(주제:정보시대에 있어 시의 역할)
1993년 3월 정기총회(25회 시협상수상자 : 김형영). 10월 제23회 정기세미나(광주, 주제:신세대시의 위상-표현기법과 시정신을 중심으로) 제7회 <시의 날>기념식 주관. 연간사화집 [1993년 올해의 시]󰡕(한국문연) 간행.
1994년 3월 정기총회(제29대 회장 이형기 선출, 제26회 시협상 수상자 : 신중신). 봄 강화도 문학기행. 연간사화집 [1994년 올해의 시](한국문연). 11월 24회 정기세미나(부산, 주제:광복50주년을 맞는 우리시의 당면과제)
1995년 3월 정기총회(27회 시협상 수상자 김종해). 연간사화집 [1995년 올해의 시](한국문연) 발간. 제9회 <시의 날> 기념식 주관. 11월 제25회 정기세미나(경주, 주제:우리 현대시에 나타난 지역정서)
1996년 3월 정기총회(제30대 회장 성찬경 선출, 제28회 시협상 수상자 : 이건청). 연간사화집 [별의 눈에 들어가기](둥지). 11월 제26회 정기세미나(대전 유성, 주제:시와 시대)
1997년 3월 정기총회(제29회 시협상 수상자 : 범대순), 안성 문학기행. 연간사화집 [보이지 않는 손](둥지) 제11회 <시의 날> 기념식. 11월 제27회 정기세미나(춘천, 주제: 시, 환경, 여성성)
1998년 3월 정기총회(31대 회장 정진규 선출, 30회 시협상 수상자 : 박상천) 지훈30주기 기념 문학기행. 연간사화집 [언어의 끝, 존재의 고랑](오성문화). 제28회 정기세미나(목포, 주제:통일시대의 시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1999년 3월 정기총회(제31회 시협상 수상자 : 노향림). 연간사화집 [보이지 않는 것들의 축제](오성문화). 박목월 추모 문학기행. 제13회 <시의 날> 기념식. 11월 제29회 정기세미나(충남 부여, 주제: 한국 현대시 조감-우리 시 무엇이 문제인가)

(사)한국시인협회는 1980년과 90년대를 거치면서 협회의 제도를 공고히 다지게 됩니다.
창립 초기에 제정된 시협상 수여와 연간 사화집, 정기 세미나 등 활발한 활동을 하며, 1987년 11월 1일을 시의 날로 선포하는 등 한국 현대시사에서 굵직한 행보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2000년 ~ 2014년
2000년 3월 정기총회(제32대 회장 허영자 선출. 자문위원과 감사 제도 신설. 제32대 시협상 수상자 허만하). 연간 사화집 [시간의 스케치] 간행. 제30회 정기세미나 개최(대구 수성호텔, 주제: 최근의 우리 시와 시어에 대하여)
2001년 3월 정기총회(제33회 시협상 수상자 이수익). 양평 문학기행. 제1회 전국고교문예백일장 개최(이후 지속). 제15회 <시의 날> 기념식. 연간 사화집 [언어의 귀환](오성문화) 간행. 11월 제31회 정기세미나(경남 함양, 주제: 한국의 전통사상과 현대시), 한국시협 특별세미나(프레지던트 호텔). 한국시협의 사단법인 설립 허가 및 사무실 마련. [시와 종교의 아름다운 만남](마을)3월 정기총회(제33회 시협상 수상자 이수익). 양평 문학기행. 제1회 전국고교문예백일장 개최(이후 지속). 제15회 <시의 날> 기념식. 연간 사화집 [언어의 귀환](오성문화) 간행. 11월 제31회 정기세미나(경남 함양, 주제: 한국의 전통사상과 현대시), 한국시협 특별세미나(프레지던트 호텔). 한국시협의 사단법인 설립 허가 및 사무실 마련. [시와 종교의 아름다운 만남](마을)
2001년 제33대 회장 이근배 선출. 사단법인 으로 전환. 이사 제도 신설. 제34회 시협상 수상자 홍신선. 제2회 전국고교백일장 개최. 한국시인협회 홈페이지 개설(www.koreapoet.org). 사화집 [풀잎의 말은 따뜻하다] 간행. 제 32회 정기 세미나 개최
2002년 3월 정기총회(제33대 회장 이근배 선출, 제34회 시협상 수상자 : 홍신선). 시인협회 홈페이지 개장(www.koreapoet.org) 및 이메일 주소(kpoem21@hanmail.net). 연간사화집 [풀잎의 말은 따뜻하다](오성문화), 11월 제32회 정기세미나(대선 유성 홍인호텔, 주제: 한국시 100년 담론) 12월 송년회 겸 문학강연 <시의 길, 시인의 길>
2003년 3월 정기총회(제35회 시협상 수상자 오탁번) 만해마을 특별 하계 세미나. 민족 명시 보급 운동 전개. 세종문화회관에서 제17회 <시의 날> 기념식. 연간 사화집 [모국어로에의 긴 여행] 간행. 11월 제33회 정기 세미나(제주도 애월 토비스콘도, 주제: 모험인가? 상실인가?-오늘의 시 그 흐름을 가른다)
2004년 1월 청소년 시문학 캠프 개설(홍성군 수련원). 3월 정기총회(제34대 회장 김종해 선출, 고문, 교류위원장 신설. 사무국장 을 사무총장으로 변경. 제36회 시협상 수상자 신달자). 5월 임시총회(정관개정). 사화집 [새들에게는 지옥이 없다](다시). 10월 현대시 100년 축제 겸 제 34회 시협 정기세미나(부산, 현대시 100년, 자랑할 만한 우리 애송시 어떤 것이 있나)
2005년 3월 정기총회(제37회 시협상 수상자 최창균, 제1회 젊은시인상 유홍준). 제부도 문학기행. 4월 독도 수호 시낭송회 개최. 사화집 [내 사랑 독도](문학세계사). 연간 사화집 [먼지도 푸른 발바닥을 가지고 있다](북인). 제35회 시협 정기 세미나 겸 제19회 <시의 날> 기념 시인 축제(전주 한옥마을, 주제:시와 대중과의 거리, 어떻게 좁힐 것인가)
2006년 3월 정기총회(제35대 회장 오세영 선출. 제38회 시협상 수상자 신현정, 제2회 젊은시인상 권혁웅). 6월 밥퍼 나눔 행사 참여. 8월 제1회 시낭송워크숍. 10월 제주도 특별자치도 출범 기념 시인 축제. <청록집 출간 60주년 기념> 제36회 정기 세미나(경주, 주제: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청록집]의 의미). 연간 사화집 [올 해의 좋은 시].(국학자료원)
2007년 1월 초중고교 교사 시 교육 강습회 개최. 3월 정기총회(제39회 시협상 수상자 한영옥, 제3회 젊은시인상 박현수). 4월 안면도 문학기행. 5월 생태시 축전(함평), 독도 지킴이 울릉도 시문학 제. 8월 동아시아 시인 포럼 개최(만해마을). [한국근현대시사], [한국시인협회 50년사] 간행. 창립 50주년 기념 시창작 가곡발표회(세종문화회관) [노래하자 우리국토를], [팔도 방언 시집] 간행. 저작권 세미나 개최, 세종문화회관에서 ‘시인만세’ 개최. 제37회 시협 가을세미나(남원, 주제:한국 현대시 100년 어디까지인가). 사화집 [지구는 아름답다] 출간.
2008년 서해안 원유 오염 방제작업 자원봉사. 3월 정기총회(제36대 회장 오탁번 선출, 제40회 시협상 수상자 원구식, 제4회 젊은시인상 길상호). 고려대 안암병원지정 의료협약 체결. 한글날 기념 [그림과 한글 자모 시] 간행. 한국 현대시 탄생 100주년 기념 <시인만세>개최(국립극장). 여수 엑스포 기념 가을 세미나 개최(여수). 시 모음집 [바다가 시인을 부른다] 발간. 영랑 세미나 <김영랑 시인의 시와 사상> 개최하고 [남도의 황홀한 달빛] 발간. 토박이 우리말 시집 [니 언제 시건 들래?] 발간. 연간 사화집 [사철 푸른 어머니의 텃밭] 발간. 박성훈 재능그룹 회장 명예시인 추대.
2009년 3월 정기총회(제41회 시협상 수상자 나태주, 제5회 젊은시인상 윤관영). 국보 사랑 시집 [불멸이 여 순결한 가슴이여] 발간. 공주, 경주, 만해마을, 국립 중앙 박물관 등에서 시 낭송회 개최. 국보 시를 새긴 방짜 징 전시회 개최. 한⦁중 시인대회 참석-중국 선양. 국립공원관리공단 도서 기증. 제39회 가을세미나 개최(춘천 라데나 리조트). 제23회 <시의 날> 주관. 연간 사화집 [패랭이꽃의 안부를 묻다] 발간.
2010년 3월 정기총회(제37대 회장 이건청 선출. 제 42회 시협상 수상자 강인한, 제6회 젊은시인상 강경호) 제10회 전국고교문예백일장 개최. 시인협회 ‘시사랑’ 메신저 시행. ‘길 위의 시인들’ 행사. 제40회 가을세미나(광주) 개최. 연간 사화집 [장수하늘소는 그 산에 산다] 발간.
2011년 3월 정기총회(제43회 시협상 수상자 허형만, 제7회 젊은시인상 손택수). 한국시협 공식 트위터와 페이스북, 서울지방경찰청 도서 기증식. 국립중앙도서관 내 <시사랑> 개관식. 제24회 <시의 날> 기념식 주관. 연간 사화집 [멀리 가는 밝은 말들] 발간. 제41회 가을세미나 (경북 안동)
2012년 3월 정기총회(제38대 회장 신달자 선출. 제 44회 시협상 수상자 유안진, 제8회 젊은시인상 이재훈) 제12회 전국고교문예백일장 개최(운현궁). 봄 문학기행 천리포수목원. 시인과 함께하는 시 낭송 음악회(4회 실시, 국립중앙도서관 지원). 만해축전 세미나 및 시낭송. 소월탄생 110주년 기념 <김소월 문학의 날> 행사(아시아출판문화센터) 소식지 기관지 [한국시인] 발행(34면). 전국 시낭송 경연대회(찬조출연 : 최불암, 장미희). 제42회 정기 가을세미나(주제 : 아리랑, 시의 모태인가?)
2013년 신년회(문학의 집 서울), 한국시인협회와 메가박스가 함께하는 ‘다시 보는 우리 시’ 캠페인(전국의 메가박스 영화관 369개 관에서 본 영화 상영 전 시가 상영). 3월 정기총회(제45회 시협상 수상자 김후란, 제9회 젊은시인상 김병호). 봄 양주 문학기행. 시로 읽는 한국근대사 시집 [사람] 발간(민음사). 한식 시집 [시로 맛을 낸 행복한 우리 한식](문학세계사) 출판. 청소년시낭송축제한마당(전국의 80여개 중고등학교와 소년원 등). 가을세미나(대구 평산아카데미, 주제 : 공교육의 시 교육, 이대로 좋은가?). 사화집 [아버지], 기관 <한국시인> 36호. 회원 수첩 발간.
2014년 3월 55회 정기총회(39대 회장 김종철 선출, 제46회 시협상 수상자 이근배, 제10회 젊은시인상 윤성택). 4월 DMZ 문학기행. 6월 이란에서 한국-이란 시인협회 교류 행사(김종해, 신달자, 정호승, 박주택 시인 등 참가) 9월 임시총회(40대 회장 문정희 선출). 10월 DMZ 전국 고교생 문예백일장 개최. 11월 가을세미나 개최(주제: 시/차/철학, 장소: 전남 보성군 제암산 자연휴양림), 11월 5일 협회 <소식지 38호> 발행.


(사)한국시인협회는 협회 창립 50주년을 넘어 새로운 100년으로 도약하는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2015년 ~ 현재
2015년 1월 신년회(문학의집 서울). 2월 사화집 출간. 3월 제56회 정기총회(제47회 시협상 수상자 이명수, 박주택 / 제10회 젊은시인상 정재학). 3월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과 문예지원금 협약 체결. 4월 웹진 <시인불멸> 사이트 오픈 및 시협 홈페이지 개편. 2015년 5월 봄 문학기행(여주), 용산도서관 창작시 공모전 심사, 7월 DMZ 전국고교생백일장(1박 2일/경기도 연천, 한반도 통일미래센터), 7월 교보문고 수요낭독 공감 진행, 8월 만해축전 세미나, 10월 제1회 전국 고교생 보성백일장 개최(보성), 11월 제29회 <시의 날> 기념식. 포스코 아시아시티 사내 전광판용 시 게재(경기도 판교), 11월 가을세미나 (강원도 춘천 호텔베어스, 주제: 한국시의 보편성과 세계성). 연간 사화집 [강원도 시로 물들다]. 전국청소년 시낭송나눔 사업(전국 80개 중고교)
2016년 1월 신년회(문학의 집 서울), 2월 제주도 애월읍 수산리 자연공원 돌담시 프로젝트 협약 완료. 3월 제57회 정기총회(제41대 회장 최동호 선출, 제48회 시협상 수상자 최문자, 12회 젊은시인상 고영). 연간 사화집 [수수꽃 어머니]. 5월 봄 문학기행(수원 삼성전자 뮤지엄). 7월 알펜시아와 함께하는 한여름 밤의 시낭송콘서트. 7월 보성군 제2회 보성백일장 주최. 시협 전국고교백일장. 8월 만해축전 참가 시협 학술회의 및 문학답사. 8월 민주평통 자문회의와 업무협약. 9월 ㈜알펜시아 리조트와 업무협약. 10월 문학주간 “찾아가는 시와 시인”. 11월 평창 동아시아시인대회. 11월 제46회 정기 가을세미나 및 수원 전국시인대회. 12월3일 ㈜교보생명 후원, KBS 제2라디오를 통해 시 캠페인 <가족사랑 생명사랑 시사랑>방송(~2017.5)
2017년 1월 평의원 신년교례회 및 신창재 (주) 교보생명 회장 겸 대산문화재단 이사장의 명예회원 추대식. 2월 제주도 애월읍 수산리 자연공원 돌담시 프로젝트 완공. 3월 정기총회(제49회 시협상 수상자 문효치, 제13회 젊은시인상 전윤호) 5월 고령 봄 문학기행. 7월 시협백일장. 8월 제3회 보성백일장, 9월 제2회 문학주간. 문화체육관광부 후원 한중일시인축제. 11월 제31회 <시의날> 주관. 시협 60주년 기념 명시 명가곡 콘서트.
2018년 3월 제59회 정기총회(42대 회장 윤석산 선출, 제50회 시협상 수상자 김수복, 제14회 젊은시인상 수상자 이해존). 5월 봄 문학기행(경기도 화성 노작홍사용문학관, 융건릉). 8월 제18회 전국고교생 문예백일장대회. 8월 제20회 만해축전 참가(한국시인협회 학술세미나 및 시낭송 콘서트). 9월 찾아가는 시인학교 문학 특강. 10월 제 18회 토지문학제와 함께하는 한국시인협회 가을세미나(주제 : 시와 이웃 장르와의 만남). 10월 한국시인협회 소식지 발간. 10월 강원도 정선 장날 “시와 놀다” 개최. 12월 사화집 [얼굴은 물고기로 가득차 있다] 출간.
2019년 1월 평의원 신년회. 3월 제60회 정기총회(제51회 시협수상자 이사라, 제15회 젊은시인상 수상자 박성현). 4월 봄 문학기행(충남 당진). 4월 수요낭독공감. 5월 2.1운동 100주년 문학강연회. 6월 “바다와 시의 만남” 해양경찰 현장체험. 7월 전국고교생 문예백일장대회. 8월 제21회 만해축전 참가. 9월 문학주간 “노래로 듣는 요절시인의 시” 개최. 10월 가을세미나(충남 공주, 세미나 주제 : 한국 현대시의 진단과 전망). 11월 제33회 시의 날 주최(특강 : “왜, 시의 날인가?”). 11월 논산문학기행. 11월 하와이 탐방 및 학술발표회(세미나 주제 : 한국현대시 세계화의 진단과 방안). 12월 한국시인협회 주소록 시인수첩 발간. 12월 사화집 [시인의 주소] 출간.
2020년 6월 임시총회 및 시협상 시상식(제52회 시협수상자 이상호, 제16회 젊은시인상 수상자 하린). 6월 대구시민 위로의 밤(다시 부르는 생명의 노래). 8월 제20회 전국고교생 문예백일장 대회. 8월 만해축전 학술세미나(서정시의 생명성과 역사적 본령), 기념 시집(생명 피어나다)제작. 10월 문학순회사업 찾아가는 시인학교(비대면 영상 촬영). 11월 가을 정기 세미나(신사임당의 삶과 허난설헌의 문학). 한국작고문인 선양사업 진행(청빙과 청빈 사이에서 웃다, 시인 조정권), 유고집 제작 및 세미나 등 아카이빙 작업. 연간 사화집 발간(주제: 꽃)
2021년 3월 정기총회 및 시협상 시상식(제53회 시협수상자 이태수, 제17회 젊은시인상 수상자 이병일). 기관지 《한국시인》 45호, 36호 발간. 5월 조지훈시인탄생 100년기념 추모행사. 특별 사화집 『포스트 코로나』 발간. 7월 제21회 전국고교생 문예백일장(비대면 줌). 8월 2021만해축전 학술세미나 및 시낭송(기념 시집 『위로가 동이 났다』 발간). 반연간지 《한국시인》 창간호 발간(200페이지 신국판).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 기념 시집 『내 안에 너 있으리라』 발간. 11월 1일 ‘시의 날’ 행사(한국시인협회 주관, 서울시 지원으로 일반시민공모 글 『서울 詩』발간. 11월 가을 정기세미나(한국 현대시 번역 100년, 그리고 충남의 시문학). 2022 사화집 『역』 발간. 회원 수첩 발간. 반연간지 2호 《한국시인》 발간. 문학예술저작권협회 특별공모사업 〈2021 우리들의 얼굴 찾기〉
2022년 3월 26일, 정기총회 및 시협상 시상식(제54회 시협수상자 권달웅, 제18회 젊은시인상 수상자 김유자). [제44대 한국시인협회 연혁] 22년 3월 26일 제44대 유자효 회장 취임. 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업무협약 체결(4/28), 해남군 인송문학촌과 문학진흥을 위한 업무협약체결(5/6), 봄 문학기행(월정사, 상원사) 실시(5/14), 44대 <뉴스레터>(제1호) 발간 및 배부(5/23), 제22회 전국 고교생 문예백일장 개최(운현궁, 8/8), 만해축전 학술세미나 개최(만해마을, 8/20~21), 제35회 지용제 참가 ‘한국 시인대회’ (9/22), 국내외 난민돕기 바자회 개최 및 수익금 2천만원 유엔난민본부에 기부(문학의집 서울, 10/15~16), ‘한국시인대회’-한국 시 미래 선언 및 학술 세미나 개최(부산광역시, 11/24~25), 유엔묘지 참배, 김민부, 김종철 시비 참배. 부산고 문학강연.
2023년~2024년 3월 3월 3일 정기총회 및 시협상 시상식(제55회 시협수상자 홍사성, 제19회 젊은시인상 수상자 기혁). 한국시인협회 젊은 시인들 <시옷>과의 만남(풀꽃문학관, 2/14), 한국시인대회 - 한국 시 미래실천 워크숍 개최(원주 ‘돼지문화원’, 3/7~8), 한국시인대회 - ‘한국 시 미래 콘서트- ‘시인들, 무산을 만나다’ 개최(서울 무산선원, 5/20), 프랑스시인협회와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파리 한국문화원, 3/21), 파리 시테대학교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한국시와의 만남’ 이후 한⸱불 상호 기관지에 시 60여 편씩 번역 소개. 제23회 전국 고교생 문예백일장 개최(운현궁, 7/8), 만해축전 학술세미나 개최(만해마을, 8/1~12), 제37회 시의 날 기념 - 시민과 함께하는 시 낭송회 <광화문에서 시를 노래하다> 개최(서울 광화문광장, 11/1), 관객 500여 명. 한국시인협회 가을 세미나(칠곡군 왜관읍 ‘성베네딕도수도원’ 피정의 집, 11/7~8), 2024년 44대 <뉴스레터>(제2호) 발간 및 배부(2/2), <제1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 (사)한국시인협회⸱(사)대한노인회 공동 주최, 조선일보 후원(2/15~3/15) 5,800여 편 접수, 불역 『한국 현대시 100선』 프랑스 현지 발간(3/21), 3월 27일 정기총회 및 시협상 시상식(제56회 시협상 수상자 이준관, 제20회 젊은시인상 수상자 김산. 불역 『한국 현대시 100선』 총회 참석자 배포.


(사)한국시인협회는 시와 관련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주관하면서 한국 시의 부흥을 위해 앞장서 오고 있습니다.
이제 창립 60주년을 맞아 100년으로 도약하면서 한국시의 정통성을 잇는 한편 미래를 향해 나아가겠습니다.